모바일로 보고 계신 분들은 공유 해 놓으시고 시간 넉넉할 때 PC 에서 다시 보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Most consumers were coming to the App Store with a clear intent to download specific brands
SensorTower
COVID-19 상황에서는 Generic keywords 를 검색하기 보다는 Top of mind 에 있는 브랜드를 직접 검색하는 비중이 높음 (음 이거 원래 그랬는데?)
Urgent / Important 4분면 중 급하진 않았는데 중요했던 Task 를 백로그에서 꺼내보자
앱내의 컨텐츠를 CMS 에서 서빙 (Dynamic content feature) 하여 앱업데이트 없이도 컨텐츠를 바꿀 수 있게 함.
Inline IAM (In-app message) 를 통해 다이나믹한 컨텐츠와 딥링킹 구성함.
온보딩 스크린에서 Personalisation 을 위한 질문을 던지기 시작함. 홈스크린이나 CRM 메세징에도 해당 개인화가 반영 될 때 더 큰 Uplift 가 생기길 기대함. (이런 거 물어봐놓고 꼭 개인화 안 해주는 앱이 태반)

린플럼 세션 들으면서 든 생각들: “우리도 온보딩 메세지 보내고 있어요” 라고 말하는 회사들이 많다. 근데 과연 몇 퍼센트의 유저들이 그 메세지에 resonate 하고 있는지 체크하는 회사는 많지 않다. ICE score 에서 Reach 를 넣은 RICE Score 가 나온 이유와 일맥상통하는듯
이 전 포스트 (Growth Clinic: Retain or Die – Retention Panel 요약 및 생각 정리) 에서 첫 인상의 중요성을 말 했는데, Onboarding message 전략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가입인사 메일이 가장 Open rate 이 높고, 처음 보낸 푸시 (첫 앱 오픈 후 5~30분 내에 보냈을 때 반응이 가장 좋았음) 가 반응율이 가장 높다. 이 단추를 잘 꾀맨다면 이미 호감이 생겨서 다음 메세지에 반응할 확률이 높다.




테스트할 때 마스터컨트롤 그룹 (아무런 테스트에도 끼지 않는 그룹) 을 만들어놓아라. 이거 만들어놨더니 해당 툴로 총 몇 퍼센트의 성장을 이끌어냈는지 볼 수 있어서 좋더라
구글플레이 description에서 Keyword density 중요하다. 이 블로그 보고 자사 앱 체크 해 보자. density 1~2% 가 적당하고 3% 는 너무 높아서 keyword stuffing 으로 제재당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경 시 before and after text 를 꼭 구글시트 등에 저장 해 놓고 density 에 따른 ranking 변화를 관찰하자
App name 에 이모지 넣었을 때 컨버전이 올라가는 경우도 많이 관찰 됨. 구글플레이에서 타이틀은 ab test 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sequential 테스트를 해 보자. 경쟁사의 change log (history) 를 스파잉 가능하기 때문에 어떤 variant 를 keep 했는지 살펴봄으로써 winning variant 를 쉽게 유추할 수 있다. (짱인데?)
랭크 된 키워드의 인스톨 컨버전이 낮으면 해당 키워드는 곧 다운랭크 될 수 있다. Relevant 한 키워드만 타겟하거나 타겟 키워드와의 relevancy 를 높이 (여성 의류와 핸드백을 빌려주는 앱에서 “핸드백” 키워드로 랭크 됐는데, 유저가 핸드백 관련 키워드나 비주얼을 볼 수 없으면 당연 install conversion rate 이 낮을 수 밖에 없다) 거나
타겟 키워드 고르는 요령: Relevancy (direct competitors 가 랭크 된 키워드는 무엇인가?), competitiveness (몇 개의 앱에 해당 키워드에 랭크 돼 있는가 / 내 앱은 몇 위인가?), volume (현재 내 앱의 visibility 가 낮다면, 롱테일 키워드; e.g food v.s. local food delivery; 를 고르자)
Description charactor limit 인 4,000자를 다 채울 생각은 하지 말자. target keyword 에 대한 density 를 채우고 1~2,000자가 적당하다.
Retention 이 타겟 키워드의 랭킹에 영향을 미친다. 구글은 아마도 (?) 인스톨한 키워드별 retention rate (e.g. 구글플레이에서 “십자수” 를 검색하고 클래스101 안드로이드 앱을 다운로드 받은 유저가 100명, 그 중 80명이 d30까지 유지했다면 해당 키워드의 d30 retention rate 이 80%)
구글플레이콘솔에서 키워드별 리텐션 분석해서 리텐션 좋은 키워드를 doble down 하자
Tags 를 변경하면 Similar apps 가 바뀐다. 이를 잘 모니터링해서 인스톨 볼륨 높은 앱에 Similar apps 순위 높게 노출 되면 개이득
쿠폰 코드 APS30 적용 시 3개월 동안 30% 할인 (Apptweak 으로 이동하기)



lasix renal scan Sibatax Paclitaxel Injection, Packaging Size 43
Pearce, GlaxoSmithKline, P buy cialis viagra After he asked, I began telling him all I knew about steroids and how athletes use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