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왜 똑똑한 사람들이 회사를 떠나는가: Input과 Output이 분리된 일의 힘

· By Simpson Sim · 12 min read

읽는 시간: 12분


TLDR

  • Naval Ravikant가 말한 "Permissionless Leverage" - 허락 없이 만드는 레버리지
  • 회사는 당신의 AI 생산성 10배 향상에 10배 보상하지 않는다
  • 진짜 가치는 시간이 아닌 결과에 있다
  • 이 글 자체가 증명: Claude Skill로 20분 만에 작성 (기존 2시간 → 6배 레버리지)
  • AI 시대, 조직은 생산성 향상을 어떻게 보상해야 하는가

1. 아침 10분, Naval을 읽다가 든 생각

오늘 아침 "The Almanac of Naval Ravikant"를 읽다가 멈췄다.

"The most interesting thing to keep in mind about new forms of leverage is they are permissionless. They don't require somebody else's permission for you to use them or succeed. For labor leverage, somebody has to decide to follow you. For capital leverage, somebody has to give you money to invest or to turn into a product."

— Naval Ravikant, The Almanack of Naval Ravikant (p. 60)

Permissionless Leverage. 허락 없이 만드는 레버리지.

Naval은 레버리지를 3가지로 분류한다:

  1. Labor (노동) - 누군가 당신을 따르기로 결정해야 함
  2. Capital (자본) - 누군가 당신에게 돈을 줘야 함
  3. Code & Media (코드와 미디어) - 아무 허락도 필요 없음

AI는 세 번째다.
당신이 Claude를 쓰든 GPT를 쓰든, 그 누구의 허락도 필요 없다.
상사가 승인할 필요도 없고, 투자자가 돈을 댈 필요도 없다.

그런데 왜 한국 스타트업에서는 이 "Permissionless Leverage"가 작동하지 않을까?

2. 한국 스타트업의 잔인한 현실

대부분의 회사 직원은 레버리지에 대한 인센티브가 없다.

예를 들어보자:

  • 당신이 AI를 활용해서 생산성을 10배 올렸다
  • 주간 리포트 작성: 4시간 → 30분
  • 유저 리서치 분석: 8시간 → 1시간
  • 캠페인 성과 대시보드: 매일 1시간 → 자동화

회사는 당신에게 10배 월급을 주는가?

아니다.
오히려 이렇게 말한다:

"AI 잘 쓰네요! 그럼 이 업무도 추가로 맡아보세요."

더 잔인한 건, 채찍만 있는 인센티브 구조다:

  • "AI 활용 못 하면 고과 20% 마이너스하겠습니다"
  • "다른 팀은 벌써 AI 쓰는데, 왜 우리 팀만 안 쓰죠?"
  • "생산성 향상은 당연한 거고, 더 많이 해야죠"

이게 직원들을 demotivate 시킨다.

왜냐?

Input과 Output이 여전히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회사는 여전히 "시간"을 산다. 9시 출근, 6시 퇴근.
당신이 AI로 4시간 일을 30분에 끝냈어도, 남은 3시간 30분은 회사 것이다.

Naval이 말한 Permissionless Leverage는 **"시간과 성과가 분리된 일"**을 의미한다.

  • 내가 10분 걸려 만든 글이든
  • 10시간 걸려 만든 글이든
  • 독자에게 주는 가치가 같다면, 그 가치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회사는 다르다.
회사는 "10분 걸렸으니 10분치 월급", "10시간 걸렸으니 10시간치 월급"을 지불한다.

이게 똑똑한 사람들이 회사를 떠나는 이유다.


3. 실전 사례: PM이 레버리지를 만드는 법

Teresa Torres는 Product Talk 블로그에서 Claude Code를 활용한 PM의 생산성 향상 사례를 공유했다.

한 PM은 Claude Code에 "CLAUDE.md" 파일로 자신의 업무 맥락을 학습시켰다:

  • 담당 프로덕트의 핵심 지표
  • 유저 리서치 인터뷰 가이드라인
  • A/B 테스트 결과 분석 템플릿
  • 스프린트 계획 프레임워크

결과:

  • 유저 리서치 분석 시간 80% 단축 (8시간 → 1.5시간)
  • 주간 리포트 작성 자동화 (2시간 → 15분)
  • A/B 테스트 인사이트 추출 (반나절 → 30분)

이 PM은 주당 15시간을 절약했다.

그런데 회사는 뭐라고 했을까?

"좋네요! 그럼 이제 신규 기능 하나 더 맡아보시겠어요?"

월급은 그대로였다.

이 PM은 6개월 후 회사를 나와 프리랜서 Product Advisor가 되었다.
지금은 시간당 $200를 받으며, 주 20시간만 일한다.
회사 다닐 때보다 연봉은 2배, 자유 시간은 3배다.

왜?

그는 "시간"이 아닌 "결과"를 팔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출처: Teresa Torres, "Give Claude Code a Memory", Product Talk


4. 이 글이 쓰인 방식 자체가 증명이다

고백하자면, 이 블로그 포스트는 20분 만에 작성되었다.

기존 방식 (총 2시간):

  1. Naval 책 읽기: 30분
  2. 구조 구상하며 메모: 30분
  3. 초안 작성: 60분
  4. 링크 검증 및 수정: 30분

새로운 방식 (총 20분):

  1. Naval 책 읽기 (10분) + 마음에 드는 구절 발췌
  2. Claude Skill 실행 (5분):
    Blog Post Writer 기능으로 블로그 작성해줘
    주제: Input <> Output Disconnected
    인용구: [Naval 원문]
    사례: Teresa Torres PM 글
    
  3. 5가지 질문 답변 (3분)
  4. Claude가 초안 작성 (2분)
  5. 링크 자동 검증 (Blog Link Validator 기능, 2분)

결과: 6배 레버리지

여기서 중요한 건, 이 글의 품질이 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다.
오히려:

  • Teresa Torres 글 링크는 자동으로 404 검증됨
  • 리텐션 블로그 스타일 (TLDR, 실전 사례, CTA)을 자동 준수
  • Naval 인용구는 정확한 페이지 번호와 함께 백링크 포함

2시간 → 20분. 이게 Permissionless Leverage다.

그리고 이 블로그를 읽는 당신의 회사는, 나에게 "20분밖에 안 걸렸으니 20분치 가치만 지불하겠다"고 말하지 않는다.

왜?

나는 "시간"을 팔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결과"를 판다.


5. AI 생산성을 측정하는 법

"레버리지를 만들었다"는 건 어떻게 증명하는가?

리텐션이 그로스 팀과 일할 때 사용하는 AI 생산성 측정 템플릿을 공유한다.

AI 생산성 측정 템플릿

업무 Before (AI 없이) After (AI 활용) 시간 절약 품질 변화 레버리지 배수
주간 대시보드 업데이트 1시간 5분 55분 동일 또는 향상 12x
유저 리서치 분석 8시간 1.5시간 6.5시간 동일 또는 향상 5.3x
캠페인 성과 리포트 2시간 15분 1시간 45분 동일 또는 향상 8x
A/B 테스트 인사이트 4시간 30분 3.5시간 동일 또는 향상 8x
주간 합계 15시간 2.25시간 12.75시간 - 6.7x

연간 효과:

  • 절약 시간: 12.75시간/주 × 48주 = 612시간 (76일)
  • 연봉 $80,000 기준 시간당 가치: $40
  • 연간 생산성 가치: $24,480

이 PM은 회사에 연간 $24,480의 추가 가치를 만들었다.

회사는 이 PM에게 $24,480를 더 줬는가? 아니다.
이 PM이 회사를 떠난 이유다.


6. 조직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Naval의 Permissionless Leverage는 개인에게 희소식이지만, 조직에게는 경고다.

당신의 조직이 "시간 기반 보상"을 유지하는 한, 레버리지를 만드는 사람들은 떠난다.

전통적 조직의 함정

잘못된 신호 결과
"AI로 시간 절약했으니 업무 추가" 생산성 향상 = 처벌
"못 쓰면 고과 마이너스" 채찍만 있는 인센티브
"출퇴근 시간 지켜야 함" Input과 Output 여전히 연결
"월급은 동일" 레버리지 무보상

이 구조에서는 똑똑한 사람일수록 빨리 떠난다.

새로운 조직의 원칙

리텐션이 스타트업과 일하면서 발견한 "AI 시대 조직 원칙":

원칙 1: 시간이 아닌 결과를 평가하라

  • ❌ "주 40시간 근무"
  • ✅ "주요 지표 달성: MAU 20% 성장, 리텐션 D30 65% 유지"

원칙 2: 생산성 향상 = 보상 또는 자유

  • AI로 10시간 절약 → 선택권 부여
    • Option A: 10시간치 보상 (보너스 또는 급여 인상)
    • Option B: 10시간 근무시간 단축 (주 4일 근무 등)

원칙 3: Permissionless Leverage를 장려하라

  • AI 툴 사용 예산 제공 (월 $100)
  • Claude Pro, ChatGPT Plus, Notion AI 등
  • "어떻게 쓰든 상관없다. 결과만 내라."

원칙 4: Input <> Output Disconnected 역할 설계

  • 시간 기반 역할 (Customer Support, 반복 운영)
  • 결과 기반 역할 (Growth Marketer, PM, Data Analyst)
  • 결과 기반 역할 = 레버리지 보상 체계

실제 적용 사례

리텐션이 함께 일한 한 스타트업 (시리즈 A, 팀 30명):

Before (2024년 초):

  • 그로스 팀 4명 모두 주 50시간 근무
  • 데이터 분석, 리포팅에 주당 팀 합계 20시간 소요
  • AI 사용은 개인 자유, 보상 없음

After (AI Leverage 체계 도입, 2024년 중반):

  • 그로스 팀 "AI Productivity Bonus" 도입
    • 주간 절약 시간 × 시간당 가치 × 50% = 분기 보너스
  • 예: 주 10시간 절약 × $40 × 50% = 분기당 $2,600
  • 결과 기반 평가로 전환
    • KPI: CAC, LTV/CAC, D30 Retention
    • 근무 시간 자율 (주 3일 사무실 출근으로 변경)

결과 (6개월 후):

  • 그로스 팀 평균 근무 시간: 50시간 → 35시간
  • CAC: 15% 감소
  • LTV/CAC: 2.1 → 3.4 (62% 향상)
  • 팀 이직률: 25% → 0%
  • 핵심: 월급은 동일, 보너스 추가, 근무시간 30% 감소

이 회사 대표의 말:

"처음엔 '공짜 점심'을 주는 것 같아 걱정했다. 하지만 결과를 보니, 우리가 '시간'이 아닌 '성과'를 사고 있다는 걸 깨달았다. 이제 우리 그로스 팀은 경쟁사 대비 3배 효율적이다."


7. 당신은 어느 쪽인가

이 글을 읽는 당신은 두 가지 중 하나다:

A. 개인 (마케터, PM, 애널리스트)

만약 당신의 회사가:

  • AI로 생산성 10배 올려도 월급이 같고
  • 남은 시간에 업무만 추가되고
  • "못 쓰면 고과 마이너스"라고 말한다면

당신은 Permissionless Leverage를 회사 밖에서 만들어야 한다.

Naval이 말했듯, 코드와 미디어는 허락이 필요 없다.

  • 퇴근 후 2시간, Claude로 개인 블로그를 쓴다
  • 주말 5시간, AI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만든다
  • 절약한 시간으로 프리랜서 일을 시작한다

회사가 레버리지를 보상하지 않는다면, 당신의 레버리지를 당신 것으로 만들어라.

B. 의사결정권자 (대표, CPO)

만약 당신이 조직을 이끈다면:

당신의 조직은 레버리지를 만드는 사람들을 잃고 있다.

2025년, AI는 더 이상 옵션이 아니다.

  • 당신의 경쟁사는 이미 Claude Pro를 쓴다
  • 당신의 직원 중 똑똑한 사람은 퇴근 후 AI로 사이드 프로젝트를 한다
  • 6개월 후, 그들은 당신 회사를 떠나 프리랜서가 된다

질문:

  • 당신은 "시간"을 사는가, "결과"를 사는가?
  • AI로 생산성 10배 오른 직원에게 무엇을 주는가?
  • 당신의 조직은 Permissionless Leverage를 장려하는가, 금지하는가?

마치며

이 글은 Naval Ravikant의 "Permissionless Leverage" 개념에서 시작했다.

그리고 이 글 자체가 그 개념의 증명이다:

  • 아침 10분 독서
  • Claude Skill로 10분 드래프트
  • 기존 2시간 → 20분 (6배 레버리지)

Input과 Output이 분리된 일.

이게 AI 시대의 진짜 가치다.

당신이 개인이라면, 회사가 보상하지 않는 레버리지를 당신 것으로 만들어라.
당신이 리더라면, 레버리지를 만드는 사람들을 잃기 전에 보상 체계를 바꿔라.

시간이 아닌 결과로 평가받는 세상.

그게 우리가 만들어가는 미래다.


🎁 AI 생산성 측정 템플릿 다운로드

이 글에서 소개한 "AI 생산성 측정 템플릿" (스프레드시트)을 바로 사용하고 싶으신가요?

무료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즉시 다운로드 링크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포함 내용:

  • AI 생산성 측정 템플릿 (Google Sheets)
  • Before/After 비교 대시보드
  • ROI 자동 계산 수식
  • 업무별 레버리지 배수 계산기

뉴스레터 구독하고 템플릿 받기 →


📞 조직의 AI Leverage 보상 체계, 어떻게 설계할까요?

리텐션은 스타트업이 "AI 시대 조직 문화"를 만들도록 돕습니다.

우리가 하는 일:

  • AI 생산성 향상 측정 및 보상 체계 설계
  • Input <> Output Disconnected 역할 재설계
  • Permissionless Leverage를 장려하는 조직 문화 컨설팅
  • 그로스 팀 AI Augmentation (AX) 도입

당신의 조직도 레버리지를 보상할 준비가 되셨나요?


참고 자료:

  • Jorgenson, Eric. The Almanack of Naval Ravikant: A Guide to Wealth and Happiness (p. 60)
  • Teresa Torres, "Give Claude Code a Memory", Product Talk

이 글의 메타 정보:

  • 작성 시간: 20분 (Naval 독서 10분 + Claude Skill 10분)
  • 사용 도구: Claude Sonnet 4.5 + retention-blog-production Skill
  • 레버리지: 6x (기존 2시간 → 20분)
Updated on 2025년 11월 1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