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겟 키워드 고르는 법
- 100~200 개 정도가 적당
- 경쟁사앱이 타이틀이나 디스크립션에 어떤 키워드를 쓰고 있나?
- 앱스토어 리뷰도 살펴보자
- 최적화가 덜 됐거나 신규로 론칭한 앱이라면 long tail keywords 부터 차근차근 공략하자
- AppTweak 이나 MobileAction 같은 툴로 쉽게 리서치가 가능하다
- Relevancy, Popularity, Competition 을 고려하자. AppTweak 에서는 Keyword Efficiency Index (KEI) 라는 요소로 정리해서 보여준다
- 메타데이터를 수정 후 3~4주 정도 모니터링 기간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업데이트 후 2~3일 동안 오픈빨 (?) 이 있다가 점차 떨어지게된다
애플 앱스토어 최적화 체크리스트
- App Name: 기억하기 쉽고 앱 아이콘을 보안하는 이름. Popularity 높은 키워드를 최대한 전진 배치
- Subtitle: ASO 메타 데이터로 인정 됨. App name 에서 사용 된 키워드 반복 금지
- Keyword field: 콤마로 키워드 분리할 때 Space 없어도 됨. Single keywords 로 써라 (e.g. 원격진료, 화상진료 (X) / 원격,화상,진료 (O)). 100자 다 채워라. 다른 메타데이터에서 쓰인 키워드 반복 금지. 단수만 쓰고 복수는 쓰지 말자
- App description: SEO 에도 반영된다. 15개 정도의 타겟 키워드를 정하고 이를 4~5번 정도씩 반복 해 주자. Keyword density 체크하고, Keyword stuffing 은 피한다. 사람이 읽을 수 있게 쓰자. 첫 255자 / 첫 3줄 (에 킬러 feature 와 CTA 를 포함한다 (더 보기 없이 노출 되는 부분)
- Reviews & ratings: 관리 좀 하자
- 컨버전 리프트: App Icon이 제일 중요하다. Tag (e.g. SALE, 11월11일) 를 노출할 경우 컨버전이 올라가는 케이스를 많이 봄. Promotional text는 인덱스는 안되지만 앱 업데이트 없이 변경 가능한 부분. 첫 두 Screenshots 가 가장 중요. 10 개 다 등록하고 Apple Search Ads 에서 Creative Sets 를 이용하여 테스트 해 보자. App preview 영상이 꼭 컨버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건 아니다. 경쟁자들의 테스트 스토리를 보면서 어떤 variant 가 winner 였는지 유추할 수 있다
- 구글플레이 체크리스트는 여기
- 구글플레이 태그 기능 잘 사용하기

어떤 필드값이 어떤 것에 영향을 미치는지 아는 것도 중요하다.

In-app event 와 Promotional contents
ASO visibility 와 컨버전 모두 영향을 미치는듯. 게다가 featured 기회까지 올라가는듯. 자주 featured submit 하고 관계 만들어 놓으면 좋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