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결과물을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보기

모바일 배너 디자인을 하는데 PC 에서 작업하고 모바일에서 실제 어떻게 디스플레이 될지 고려하는가? 소비자/유저 관점이 중요하다고 외치지만 정작 우리가 만든 결과물을 실제 소비하는 환경과 최대한 비슷하게 확인하고 있는가?

주요 게재 위치 (Placement) 는 어디인가?

유튜브 피드에서 Native banner (1200×628) 로 노출이 많이 된다면 지금 내 유튜브 피드에서 나오는 광고들을 확인하고 각 광고의 장점을 훔치려고 노력 해 보자.

인스타그램 타겟 해시태그 Top 에 들고 싶은가? 실제 Top 에 있는 컨텐츠가 왜 Top 에 들어갈 수 있었는지, 어떤 스토리로 컨텐츠를 풀어가는지, 어떤 해시태그를 썼는지, 팔로워 대비 인게이지먼트는 얼마나 많은지 조사 해 보자. 이를통해 우리가 공략할 수 있는 해시태그를 결정할 수 있다.

페이스북/인스타그램 광고를 복수의 개제지면에 돌리고 있는데, 인스타그램 지면의 효율과 스케일이 페이스북보다 크다고 가정 해 보자. 인스타그램 지면 (피드와 스토리 각각 따로) 에서 우리의 광고가 어떻게 보여지는지 확인하지 않고 페이스북 뉴스피드에 맞춰 최적화하고 있진 않은가?

블로그 타이틀에 이모지 (Emoji) 를 쓰면 SEO 도움 될까? 라는 Hypothesis 를 테스트한다고 가정 해 보자(🔥 5 Reasons Why You Should Use Emojis in Your SEO & PPC Strategy 😉👌😎 라는 글을 보고 영감을 얻었다) 이모지가 컨텐츠 소비자의 이목을 끌기 때문에 CTR 이 높아지고, 이는 랭킹 상승으로 이어진다가 주요 골자다. 테스트 시 이모지를 타이틀 맨 뒤에 배치 했는데, 타이틀이 너무 길어서 실제 SERP 에서 이모지가 생략 되어 보인다면 이 테스트는 Null hypothesis 가 될 경향이 크고 잘못된 learning 이 쌓이게 된다.

유튜브 영상 썸네일처럼 생긴 트립스토어 광고 크리에이티브

소비자가 마케팅 결과물을 소비하는 시간과 장소는 어디인가?

스카이스캐너 한국 유저들은 잠 자기 전 시간대에 (아마도 침대에서)App session 이 높고 사용시간도 길다는 것을 확인 했다. 이 시간대에 주로 쓰는 기능이 있었는데 이게 꽤 Aha moment 였나보다. 이 분석을 바탕으로 제작 된 마케팅 크리에이티브가 꽤 성과가 좋았었다.

복잡한 출퇴근 시간에 버스나 지하철에서 소비되는 컨텐츠를 제작하고 있다면, 글 길이는 얼마가 적당할까? (scroll depth 나 체류 시간 파악), 얼마나 빠른 시간 안에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를 전달해야하나 등을 고민 해 보자.


소비자의 눈으로 우리의 마케팅 제작물을 보는 건 생각보다 꽤 간단하다. 위의 두 가지를 습관화했다면, 이제는 실제 소비자에게 의견을 물어보자 (이 부분에 대해선 언젠가 블로그 포스트를 써 보겠습니다)

대화에 참여

댓글 6개

댓글 남기기

glumuts에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